AMD 잉텔 CPU 불량율, 소비자의 관점
컨텐츠 정보
- 127 조회
- 5 댓글
- 목록
본문
영상 속, 컴 사장님 내용 상 AMD 시피유 9600x 메인보드 설정값에 영상의 무게를 두셨지만,
저는 다른 쪽으로 접근 했습니다.
9600x 액면가 선전용 최대 (5.4 GHz) 부스트클럭을,
아무것도 건들지 않은 기본 셋팅만으로
5.0 GHz 이상 땡겨 쓸수 없게 일부러 제한을 걸어 놓을 수 밖에 없었던
메인보드 제조사 그들만의 사정이 있지 않았을까? 합니다. 이 말인 즉슨,
암드 시피유 제조사와 메인보드 제조사 들 끼리 '비밀 이면 조약' 이런 게 없고 서야,
액면가 성능 (5.4 GHz) 시피유를, 제살 깎아가면서 까지,
'저 성능밖에 낼 수 없는 보드 제품군으로,
타 메인보드 경쟁구도하에 출시하고 싶은 정신 나간 '자선사업단체'라도 있는 것일까요?
이 건 분명, 암드 시피유 설계 제조 공정 마저도 이제는 한계치에 도달 했을 가능성을 여실히 보여줍니다.
그렇지 않고 서야, 메인보드 제조사 탑티어 '아수스'마저 액면가 선정용 최고 부스트 클럭을 5기가 이하로
강제 제한 기본설정값으로 출시할 수 밖에 없는 말 못할 상황?
시피유 제조사와 메인보드 제조사들 끼리의 비밀 이면 계약 없이는,
제살 깎아먹는 저성능 보드로 타 제조사들과 불리한 경쟁을 할 이유가 없을겁니다.
요즘들어 AMD 시피유 불량 사례가 급격히 증가 하고 있다는
타 업체 얘기를 들어봐도, 이건 이제
인텔 시피유 13 14세대 묻지마 불량사태와 별 다를 거 없이
암드 시피유 불량율도 별반 다를 거 없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저 같은 소비자 입장에서는
AMD건 Intel 이건 간에, 최고급 성능 (발열)의 시피유 보다는
중급 성능 시피유 기본 셋팅 만으로 발열 데미지를 최소화 하면서
오래 오래 사용하고 싶습니다.
컴 조립 업체 입장 왈, 컴퓨터 사용주기가 보통 5년 내외~ 라고들 하시더군요.
이 말을 듣는 소비자 입장은 씁슬합니다.
그러나 부정할 수도 없는 부분이,
유튜브 영상 랜더링, 고사양 게임을 즐기는 소비자 분들은
그 만큼 빡세게 컴퓨터를 사용할 것이기에, 또한 그 만큼
누적되어 쌓여진 발열 데미지로 인해 컴퓨터 수명은 줄어들지 않을까요?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드는 유익한 영상입니다
누가 혹시나 기회 되시면, 풍부한 필드 경험으로 쌓아오신,
시피유 불량율 데이타 좀, 속 시원하게 오픈 해 주시면,
차 후에 현명한 소비자 입장에서 시피유 고를 때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관련자료
엘라임님의 댓글
요새 amd의 불량률 증가는 예기가 약간 다릅니다. amd의 반도체생산은 amd에서 하는게아니라 tsmc에 위탁생산을 합니다.
인텔은 14세대까지는 자체생산 15세대는 위탁생산인데요 때문에 인텔 13 14세대는 인텔의 제조 역량문제가 맞는예기지만
amd의 불량률 문제는 tsmc가 수율안정화를 햇다고 발표를 하고도 자세히 들여다보면 수율이 상당히 왓다갓다 햇던 문제가 있는데
그쪽의 문제가 큽니다. amd는 자체생산이 아니라 설계를 본인들이 할뿐 생산 자체는 위탁생산이어서 타회사로 생산업체를
바꾼다던지 한다면 바로 문제가 해결될수도 있기때문입니다 물론 반도체 위탁을 한업체에만 맏겨왓던 만큼 쉽게 삼성이나 다른업체로 바꿀순 없겟지만요
인텔이 각 i3 i5 i7 칩마다 개별 설계를 한것과 달리 amd가 컷칩 방식으로 제품을 개발햇던 이유는 그래야 대량발주로 단가를 내리면서 위탁생산하면서 품질을 지키기 쉬워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