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D바꾸니까 속도가 빨라졌는데 질문드려봅니다
컨텐츠 정보
- 5,398 조회
- 12 댓글
- 목록
본문
나사를 구해서 evo970 plus 500gb를 장착하고 다시 윈도우 설치를 했는데
온도가 49~55도까지 가던데 방열판을 설치를 하는게 나은가요?
거기에 로딩이라고 해야하나 잠시 멈췄다가 다시 괜찮아지전데 이게 SSD에 문제가 있는걸까요?
이게 온도가 올라가고 여러 작업을 하면 이런증상이 나타날수도있는건가요?
삼성전용 소프트웨어 설치해서 검사해봐도 이상없다고 뜨는데 왜 저런 증상이 나오는걸까요?
라이젠1600 그래픽은1070 보드는 asus A320에 하드 2개 달고 있습니다
관련자료
댓글 12
/ 1 페이지
tommkr님의 댓글
50도 안팎은 통상 기본적으로 나오는 적정 온도로 봐도 됩니다 만, 오래 쓰시려거든
방열판 달아주는게 좋죠, 그리고 메인보드 기판에 직바람 불어주는 팬을 더 달아줘도
도움 되구요. 케이트 뚜껑을 따고 사용하면 온도는 더 내려갑니다만, 소음이 더 날 수 있구요.방열판은 눈뽕용 LED같은거나 현란한 도색코팅된 제품들은 피하고
오로지 날것같은 방열판 구실만하는 싼 제품으로 구입하세요.
잠시 멈췄다가 다시 괜찮아지는 증상이 하드 자료를 접근? 할 때마다 나타나는 증상인가요?
멈추는 시간은 몇초 정도 되고, 다시 괜찬아지는 시간대는 몇분주기로 그런 증상이 나타나나요? 컴퓨터 켜있는 평상시 매 2~5초 마다 루틴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증상인가요?
방열판 달아주는게 좋죠, 그리고 메인보드 기판에 직바람 불어주는 팬을 더 달아줘도
도움 되구요. 케이트 뚜껑을 따고 사용하면 온도는 더 내려갑니다만, 소음이 더 날 수 있구요.방열판은 눈뽕용 LED같은거나 현란한 도색코팅된 제품들은 피하고
오로지 날것같은 방열판 구실만하는 싼 제품으로 구입하세요.
잠시 멈췄다가 다시 괜찮아지는 증상이 하드 자료를 접근? 할 때마다 나타나는 증상인가요?
멈추는 시간은 몇초 정도 되고, 다시 괜찬아지는 시간대는 몇분주기로 그런 증상이 나타나나요? 컴퓨터 켜있는 평상시 매 2~5초 마다 루틴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증상인가요?
tommkr님의 댓글의 댓글
asus A320에 하드 2개 달고 쓰신다고 하셨는데 그 하드가 옛날 구형 고용량 하드라면
그쪽 자료 옮기고 할때 처음에 로딩되거나 속도 저하는 자연스런 현상입니다. 구형 고용량 하드는 평상시 안쓸때는 슬립모드로 잠들어있는상태라서 처음에 로딩 걸리면서 플래터 원판 돌려가며 드륵드륵 시간 걸리는 거는 구형 고용량 하드만의 고질적인 문제 입니다. 이것 말고는 evo970 plus 500gb 문제는 아닙니다. 혹여 asus A320에 달린 하드 2개가 구형 고용량 하드이고 사타 전원선 한개에 두 하드가 같이 연결되어 있다면, 전력 부족이 원인이니, 각각의 하드에 개별 사타 전원선을 따로 연결 해 주셔야 하드 오류가 덜 생깁니다.
그쪽 자료 옮기고 할때 처음에 로딩되거나 속도 저하는 자연스런 현상입니다. 구형 고용량 하드는 평상시 안쓸때는 슬립모드로 잠들어있는상태라서 처음에 로딩 걸리면서 플래터 원판 돌려가며 드륵드륵 시간 걸리는 거는 구형 고용량 하드만의 고질적인 문제 입니다. 이것 말고는 evo970 plus 500gb 문제는 아닙니다. 혹여 asus A320에 달린 하드 2개가 구형 고용량 하드이고 사타 전원선 한개에 두 하드가 같이 연결되어 있다면, 전력 부족이 원인이니, 각각의 하드에 개별 사타 전원선을 따로 연결 해 주셔야 하드 오류가 덜 생깁니다.